Raspberry Pi

라즈베리파이(Raspberry Pi) DLNA(Minidlna) 미디어서버 만들기 (리눅스 홈네트워크 구축)

메이커JK 2015. 7. 12. 23:34
반응형

원격지에 있는 파일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FTP나 삼바(Samba) 파일서버를 사용합니다. 근데 스마트TV에서는 보통 FTP, 삼바서버에 접근할 수 없기 때문에 홈네트워크 기술인 DLNA(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)라는 것을 이용하게 됩니다. 이번에는 라즈베리파이에 Minidlna를 설치하여 미디어서버를 구축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.

 

라즈베리파이 DLNA(Minidlna) 미디어서버 구축 방법

1. 라즈베리파이에 minidlna를 설치한다.

sudo apt-get install minidlna

 

ps -ef | grep dlna

위 명령으로 minidlna 서버가 제대로 설치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 

2. minidlna.conf 설정파일을 수정한다.

sudo vi /etc/minidlna.conf

# media_dir=/var/lib/minidlna
media_dir=A,/home/pi/minidlna/music
media_dir=P,/home/pi/minidlna/pictures
media_dir=V,/home/pi/minidlna/videos

# Path to the directory that should hold the database and album art cache.
db_dir=/var/lib/minidlna

# Path to the directory that should hold the log file.
log_dir=/var/log

음악파일, 사진, 동영상파일이 저장되어 있는 곳을 지정합니다. (설정파일에서 #은 주석을 나타냅니다.) 각 설정마다 영어로 설명이 되어 있기 때문에 천천히 읽어보고 적용하면되는데 만약 잘 모르겠으면 위에 있는 내용을 참고로 설정하시기 바랍니다.

 

3. 미디어파일(음악, 동영상, 사진)이 저장될 디렉토리를 만들고 권한을 수정한다.

설정파일에 입력한 내용을 참고하여 디렉토리를 만들어줘야 합니다.

cd ~ (사용자의 홈 디렉토리로 이동)

mkdir minidlna (DLNA 디렉토리 만들기)

cd minidlna (디렉토리 이동)

mkdir music pictures videos (음악, 사진, 동영상 디렉토리 만들기)

cd .. (상위 디렉토리 이동)

sudo chmod -R 777 minidlna/ (권한 변경)

 

4. minidlna 서비스를 재시작한다.

sudo service minidlna restart

 

5. 스마트폰이나 스마트TV로 DLNA 미디어서버를 이용한다.

     

아이폰 Ace Player 앱을 사용해서 라즈베리파이 미디어서버(minidlna)에 저장된 파일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. 사실 스마트폰 같은 경우는 DLNA를 사용하는 것보다 FTP, Samba를 이용하는 것이 더 편합니다.

 

LG 스마트TV로 라즈베리파이 미디어서버(minidlna)에 접근한 모습

 

라즈베리파이 미디어서버(minidlna)에 있는 동영상 파일을 불러와 재생해봤습니다. 고화질 동영상 파일이고 무선 와이파이 연결이라 그런지 로딩 중이 자주 뜨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. 기가와이파이 공유기를 사용하든지 유선 LAN을 이용한다면 정말 완벽한 미디어서버를 구축할 수 있겠네요.

 

 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