이클립스 텍스트 편집기 인코딩을 UTF-8로 변경하기 (Eclipse Editor Encoding 유니코드 설정방법)
이클립스로 (JSP같은) 웹 프로그래밍을 하다보면 가끔 한글이 깨지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. 한글이 깨지는 현상을 없애기 위해서는 환경설정에서 텍스트 인코딩(Encoding) 방식을 변경해줘야합니다. 환경설정을 하기 위해서 이클립스 메뉴에서 Window - Preferences를 클릭합니다.
이클립스 인코딩 방식 변경하기 (UTF-8 유니코드)
이클립스 메뉴에서 Window - Preferences을 선택했으면 Preferences 대화상자가 뜨는데 여기서 General - Workspace를 선택합니다. 여기서 Text file encoding을 국제표준인 UTF-8로 변경을 합니다. (디폴트값은 운영체제 기본값 MS949로 설정되어 있습니다.) 변경을 했으면 Apply 버튼을 클릭하여 적용시킵니다.
다음으로는 Preferences에서 Web - CSS Files을 선택합니다. 이것도 인코딩을 ISO 10646/Unicode(UTF-8)로 설정합니다. CSS Files와 같은 방식으로 HTML Files, JSP Files의 인코딩도 UTF-8로 변경합니다. 여기까지 인코딩을 제대로 변경했다면 이클립스 편집기에서 한글이 깨짐없이 나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.
인코딩을 변경해야할 곳이 더 없는지 궁금하다면 Preferences에서 'encoding'을 검색해보면 됩니다.
[JSP] - 윈도우환경 아파치 톰캣(Tomcat) 설치, 실행 방법 (JSP 서블릿 컨테이너, 자바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 구축)
[Java] - 자바 JDK(Java Development Kit) 설치 방법 (JAVA_HOME 환경변수 설정, 자바프로그래밍 개발환경 구축)
[Linux] - 우분투 리눅스(Ubuntu Linux) vi에디터(vi Editor)에서 백스페이스, 화살표 키가 이상할 경우 문제 해결법
[Linux] - 리눅스(Linux) 페도라 서버(Fedora Server) 다운로드, 설치방법 (가상머신 VMware Player 사용법)
[Linux] - 가상머신(VMware Player)을 사용해서 우분투 리눅스(Ubuntu Linux) 설치하기 (다운로드에서 설치방법까지)